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남성 호르몬 억제제 고용량 처방시 뇌수막종 위험 증가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남성 호르몬 억제제인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cyproterone acetate), 일명 CPA가 장기간 고용량 처방시 뇌수막종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전립선암 치료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데다 성전환 수술, 나아가 탈모와 피임약에까지 쓰이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파장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탈모와 피임약 등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가 뇌수막종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현지시각으로 6일 사이언티픽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뇌수막종 발생 위험의 연관성을 분석한 대규모 연구 결과가 게재됐다(doi.org/10.1038/s41598-022-05773-z).브리스톨 의과대학 리(Keng Siang Lee) 박사가 주도한 이번 연구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를 복용중인 16만 59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약물을 복용중인 환자에게서 뇌수막종 발병이 잦다는 점에서 실제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가 이와 연관이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다.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는 일반적으로 수술이 불가능한 전립선암 환자에게 표준 요법으로 처방되며 성전환 수술에도 호르몬 요법으로 활용된다.또한 일반적으로 안드로겐과 관련한 탈모증에도 처방이 이뤄지고 있다. 남성 호르몬을 억제해 탈모를 막는 기전이다.연구진은 환자들을 약물 복용 용량별로 나눠 추적관찰하며 뇌수막종 위험을 분석했다. 실제로 약물이 뇌수막종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다.결론적으로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는 뇌수막종 위험과 직접적 연관성이 있었다. 하루에 60mg 이상의 고용량 시프로테론을 처방받은 환자들의 뇌수막종 발병 위험이 정상인에 비해 3.78배나 높았기 때문이다(RR=3.78).하지만 용량이 작아질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큰 폭으로 낮아졌다. 특히 안드로겐 관련 탈모증에 처방되는 2~10mg의 용량은 뇌수막종 발병과 아무런 연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결국 탈모 등에 활용되는 저용량 요법은 지금처럼 유지해도 무관하지만 고용량 처방의 경우 뇌수막종 위험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는 의미다.연구를 진행한 리 박사는 "이번 연구는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와 뇌수막종 위험간의 연관성을 규명한 세계 첫 연구"라며 "향후 고용량 약물 처방시 뇌 MRI 등을 통한 지속적인 스크리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이어 그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약물이 가져오는 부작용에 대한 더욱 정교한 전향적 임상시험이 필요하다"며 "특히 이번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판명된 저용량 요법에 대한 세세한 분석도 함께 진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2022-02-07 12:26:49학술

10년만 새단장 여드름 가이던스, 약물 변화 포문

메디칼타임즈=원종혁 기자 여드름 가이드라인이 신약과 기존 치료옵션의 임상근거를 대거 반영해, 10년만에 업데이트를 마쳤다. 최근 국제 피부과학회 가이드라인들이 개정본을 선보이는 가운데, 유럽지역 진료지침이 장기간 손질을 끝마치며 변화의 포문을 열었다. 그 중 '국소도포용 항생제' '이소트레티노인' '호르몬 병용요법' 등의 임상근거에 적잖은 변화를 보이며, 여타 학회 가이드라인 개정작업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번 프랑스 피부과학회 업데이트는 2007년 여드름 진료지침을 공개한 후의 첫 결과물로, 그동안 시장에 진입한 치료 옵션의 임상근거를 대거 반영했다는데 눈길을 끈다(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2017;177(4):908-913). 통상 여드름 치료에는 여드름 균에 대한 직접적인 살균 효과를 지니며, 유리 지방산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주는 클린다마이신, 에리쓰로마이신 등의 국소도포 항생제를 비롯해, 비타민A를 변형시켜서 만든 레티노이드 등 약제들이 사용되는 상황. 또 각질을 벗겨내 피지 배출을 돕는 트레티노인, 아답팔렌 등의 피부재생 연고와 강력한 항균제제로 세균집단을 줄이고 항염증과 면포 용해작용이 있는 여드름 연고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번 업데이트에 따르면, 논란의 중심에 선 항생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세계보건기구(WHO)가 내놓은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면 처방을 엄격히 제한하라'는 기류에 동참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간 제기돼 왔던 항생제 내성균주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자는 것으로, 이미 2012년 프랑스보건당국에서는 여드름치료에 항생제 미노싸이클린의 사용을 제한한 바 있다. 이소트레티노인의 경우, 중등도 이상의 여드름 치료에는 2차약제로 권고됐으며, 매우 심각한 여드름에는 1차약제로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일부 부작용 위험에 있어서는 여전히 논란이 따랐다. 이소트레티노인 처방 후 우울증과 염증성 장질환 이슈가 늘면서 안전성을 두고 우려가 나오는 것이다. 이외 호르몬 요법에서는 2013년 5월 제기됐던 일부 호르몬 병용옵션의 혈전색전증 안전성 경고가 빠졌다. 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2mg과 에치닐에스트라디올0.035mg의 호르몬 병용요법에 위험성보다는 치료 혜택에 무게가 실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업데이트 내놓은 국제 피부과학회들 "최신 가이드라인간 차이점은?" 국제 피부과학계의 양대산맥으로 거론되는 미국피부과학회(AAD)와 유럽피부과학포럼이 가장 최근에 발표한 진료지침 사이에서도 일부 차이가 있다. 미국피부과학회의 가이드라인은 2016년 2월 마지막 업데이트를 진행했는데, 일단 국소도포 항생제의 사용을 제한하지는 않았다. 또 현재 프랑스지역에서 사용할 수 없는 국소용 답손을 경증 여드름에 2차약으로 권고했으며, 경구용 항생제 미노싸이클린의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이외 테트라싸이클린을 사용할 수 없는 임산부나 8세 미만의 소아에서는, 아지쓰로마이신의 사용을 추천하고 있다. 경구용 스피로노락톤은 경증이나 중증 여드름 여성 환자에 2차약으로 추천했으며, 저용량 이소트레티노인은 부작용을 고려해 투약빈도를 줄여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2016년 6월 공개된 유럽피부과학회 포럼의 가이드라인에서는 아답팔렌이나 클린다마이신, 벤조일 페록사이드를 경증과 중등증 여드름 옵션으로 강력 추천했다. 미노싸이클린을 전신 항생제 치료옵션 중 하나로 추천하기는 했지만, 미노싸이클린과 테트라싸이클린보다 독시싸이클린 등을 더 선호했다.
2018-01-03 18:30:39학술

|외신|프랑스, 다이안느-35 효용성 지지 수용

메디칼타임즈=메디칼트리뷴 기자프랑스 보건청(ANSM)이 바이엘의 여드름치료제 다이안느-35(시프로테론 아세테이트 2mg+에치닐 에스트라디올 35μg)와 제네릭 제형에 대한 판매중단 조치를 철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프랑스는 지난 1월 말 다이안느 35를 복용한 여성의 사망과 관련해 판매를 중단했었다. 하지만, 유럽의약품청은 다이안느 35와 이 제품의 제네릭 제형의 효용성이 위험성보다 크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 결과는 EU 집행위원회에 제출될 예정으로, EU 집행위의 최종결론은 유럽연합 회원국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2013-05-31 16:03:13제약·바이오
  • 1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